포스트

포스트 프로세싱✨ 원리와 구현 정리본

포스트 프로세싱✨ 원리와 구현

본 글은 위 영상을 참고하여 만든 정리본임.


PostProcessing

PostProcessing 원리

UI 역시 메시

  • Vertex들, Edge들, Polygon들이 모여 만들어진 메시.
  • PostProcessing도 마찬가지

PostProcessing도 결국 화면크기의 사각형 (삼각형 두개로 이루어진)에 Shader를 적용하는 과정.

  • 이 사각형도 결국 Mesh.
  • 말한 것처럼, Shader를 활용한다.
  • 다른 Shader와는 Rendering Pipeline 상의 위치가 다르다.

카메라로 촬영한 게임 공간 내의 한 현상을 화면에 렌더링할 때, 현재 프레임에서 렌더링하는 버퍼를 Back Buffer라고 한다.

Back Buffer, 화면 앞 (Front)이 아닌 Back Buffer라고 하는 가상의 버퍼에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의 정보가 매 프레임마다 써진다.

그렇게 한 이미지의 정보가 버퍼에 꽉 차면, Flip, Front Buffer와 뒤집어서 화면에 시각화한다.

Back Buffer가 한 프레임에 이미지 정보를 쓰는동안, Front Buffer는 이미 다 그려진 이미지를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PostProcessing은 이 Back Buffer에 그려진 이미지 정보를 Off Screen Render Target (혹은 Off Screen Render Texture) 라는 대상에 그린 후, Texture와 Shader를 이용해 추가적인 이미지 처리 효과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 Off Screen Render Target (혹은 Off Screen Render Texture) 이란?
    • 화면에 직접 그려지기 전에 텍스처, 쉐도우 맵, 또는 다른 시각적 효과를 미리 계산하고 준비하는 데 사용되는 대상.

당연히, 이는 프레임 디버거(Framge Debugger)로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 Renderer Pipeline의 과정을 모두 들여다 볼 수 있는 것 같다.

셋업 실습

  • [ShaderGraph & Meterial 셋업하기]

    Project Window 에서 Create > Shader Graph > URP > Full Screen Shader Graph 를 통해 셰이더 그래프를 만듦.

    이를 활용할 Meterial도 필요함.

    스크린샷 2024-03-12 205752

    Untitled (11)

    만든 셰이더 그래프를 Meterial로 드래그하여 Material에 Shader를 적용해준다.

    Untitled (12)

    ShaderGraph를 선택하면 위와 같은 ShaderGraphWindow가 열린다.

  • [Shader Material 적용하기]

    Untitled (13)

    현재 설정된 Renderer Asset에 왼쪽과 같이 Full Screen Pass Renderer Feature 를 추가.

    Untitled (14)

    여기 Pass Material 에 직접 만든 Material을 넣어주면 된다.

  • [Full Screen Pass Renderer Feature 에 대해서]

    Untitled (15)

    • Injection Point

      이 효과가 언제 적용될지를 선택하는 옵션

      • Before Rendering Transparents: skybox pass 의 이후에, 그리고 transparents pass 직전에 적용.
      • Before Rendering Post Processing: transparents pass 이후에, 그리고 post-processing pass 직전에 적용.
      • After Rendering Post Processing: post-processing pass 이후에, 그리고 AfterRendering pass 직전에 적용.

      각각의 옵션이 어떤 시각적 변화를 만드는지는 직접 변화를 보면서 적용하는게 좋을 듯.

  • [Shader Node]

    Untitled (16)

    • Scene Color 노드URP Sample Buffer 노드
    • 둘 모두 동일한 기능을 하지만,

      후처리에 적합한 건 URP Sample Buffer 노드.

    • URP Sample Buffer는 URP에서만 쓸 수 있다.
      • Source Buffer 선택이 가능한데,
        • NormalWorldSpace : Scene에 존재하는 표면의 모든 픽셀에서 법선벡터를 가져온다
        • MotionVectors : 주어진 객체가 프레임 사이에서 얼마나 멀리 이동하는지 나타내는 벡터를 제공한다.
        • BlitSource : 모든 객체의 색상을 제공한다.

GrayScale

말그대로 그냥 흑백사진으로 만들어내는 것.

실습

Untitled (17)

GrayScale을 적용하기 위한 ShaderGraph. 내적을 활용한다.

  • 여기서는 RGB의 가중치가 모두 0.33인데, 실제 사람의 눈은 B에 대한 민감도가 낮다.
  • 그래서 이 가중치를 실제로는 살짝식 변화를 주어 사용한다.
    • 대체로 B에 대한 가중치가 낮아지는 편으로.

Untitled (18)

GrayScale이 적용된 화면

Untitled (19)

가중치에 변화를 준 GrayScale

좌측의 화면은 GrayScale의 RGB 가중치가 각각 0.21, 0.71, 0.07로 설정된 화면.

Untitled (20)

컬러 그레이딩

  • 이미지나 비디오의 색조, 채도, 밝기 등을 조정하여, 특정한 분위기나 스타일을 만들어내는 고급 색상 조정 과정.

Posterization

  • 색상 범위를 의도적으로 줄이는 이미지 처리 기술
  • 원본의 많은 색상을 더 적은 수의 색상으로 단순화 ⇒ 결과적으로 이미지가 마치 포스터처럼 단순화된 색상 구성을 가지게 된다.
  • 사람의 눈은 색마다 다른 민감도를 가지고 있고, 채도보다 명도에 민감하다.
    • 그러니 명도를 기준으로, 포스터라이제이션을 적용해보자.
  • URP는 기본적으로 LinearSpace 선형공간
  • 채도, 휘도, 명도 ⇒ HSV 공간으로 바꿔줄건데, 감마공간에 있는걸 가져다가…

HSV 색 공간

Untitled (21)

위키백과의 HSV 색 공간 원뿔 모형

색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법이자, 그 방법에 따라 색을 배치하는 방식. 색상 (Hue), 채도 (Saturation), 명도 (Value)의 좌표를 써서 특정한 색을 지정한다.

Gamma Color Space vs Linear Color space

  • 베버의 법칙과 관련이 있는데,
  • 인간의 감각 인식이 선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시각은 특히 저조도에서 더 민감하여, 높은 밝기 수준에서는 더 많은 밝기 변화를 필요로 한다.
  • 이 원리가 감마 보정 곡선을 설계할 때 고려된다.
  • 감마 보정은 밝기의 선형적 증가와는 달리, 인간의 시각이 감지하는 방식을 반영하여 비선형적으로 밝기를 조정

Gamma Color Space

  • 비선형 밝기 조정: 감마 값(γ)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밝기를 비선형적으로 조정한다. 감마 값이 1보다 클 경우, 중간 밝기의 세부 정보가 강조되며, 1보다 작을 경우에는 어두운 영역의 세부 정보가 더 잘 보이게 된다.
  • 인간의 시각에 최적화: 인간의 눈은 밝은 영역보다 어두운 영역의 변화에 더 민감하다. 감마 보정을 통해 이러한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반영하여, 제한된 비트 수로도 더 효과적으로 밝기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Linear Color space

  • 선형적 밝기 표현: 색상의 밝기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이는 광원의 실제 특성과 일치한다.
  • 물리적 기반 렌더링(PBR)에 적합: Linear Color Space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렌더링을 위한 기반이 된다. 3D 그래픽스와 시각 효과에서, 광원, 재질, 카메라 등의 상호 작용을 더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게 한다.

실습

Untitled (21)

Untitled (22)

poster count라는 float는 5로 설정되어있다.

  •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 않다.
  • 처음에 Scene의 색(RGB)을 감마보정해주고, 색 공간을 RGB에서 HSV로 바꿔준다. 명도를 기준으로 포스터라이제이션하기 때문에.
  • 그리고 그렇게 추출한 H, S, V 중 V인 Value, 명도를 임의로 정한 상수와 Multiply, Round, Divide 연산을 통해 연속적인 변화를 계단형 변화로 바꾸어준다.
  • 그리고 다시 성분들을 재조립하고, RGB 색 공간으로 바꾸고, 감마보정을 풀어 적용한다.

Blur

Untitled (23)

  • 가장 널리 쓰이는게 가우시안 블러
    • 이미지에 부드러운 흐림 효과를 주어 디테일을 줄이고 전체적인 시각적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데 사용
    • 가우스 분포(정규 분포)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의 각 픽셀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흐림 효과를 적용한다.
    • 실시간 (Real-Time)으로 이를 적용하는 데 있어서는 성능을 고려해 대상화소를 기준으로 3x3 샘플링을 하는 편이 일반적.

실습

  • 서브 그래프를 만들기 위해서, URP Sample Buffer 대신 Scene Color 노드를 사용
  • 효과가 시각적으로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단위를 1이 아닌 5로 수정
  • 퀄리티를 높이려면, 샘플링하는 영역을 3x3에서 더 키울 것.
    • 그러나 이를 키우면, 대역폭이 늘어나면서 성능상의 이슈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할 것.

Untitled (24)

Blur효과가 적용된 화면

Untitled (25)

  • SubGraph를 활용해 Blur 효과를 구현하는 Shader Graph

Untitled (26)

  • Blur효과 구현을 위해 사용된 SubGraph의 Graph
  • 하나의 UV좌표를 선택할 때 지정된 offset만큼 조정된 위치의 좌표를 선택하고, 지정된 weight 만큼의 가중치를 곱하여 결과로 출력한다.
  • 이러한 SubGraph들을 3x3 총 9개의 픽셀에 대해 Blur 효과를 적용한 결과가 좌측의 이미지에 나타나 있다.

Depth of Field 피사계심도

  • 배경과 전경의 흐림 정도를 조절하여 시각적 주목도를 조정하는 데 사용
  • 피사계심도가 좁은 경우, 즉 깊이가 얕은 경우, 사진의 일부분만 초점이 맞고 나머지 부분은 흐려지게 된다. 이는 주제를 강조하고 배경의 방해 요소를 줄이는 효과를 준다.
  • 반면, 피사계심도가 넓은 경우, 사진의 대부분 또는 전체가 선명하게 나타난다.
  • 성능상의 비용이 큰 효과.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은 비추천한다고 한다.

실습

  • 직전에 만든 Blur 그래프를 활용한다.
  • 대상 거리, 혹은 대상 물체를 제외한 부분을 흐리게 하기 때문에 Blur효과가 사용된다.

Untitled (27)

Untitled (28)

카메라의 Clipping Planes - Far 의 설정을 기본 3000에서 100으로 줄이고 효과를 적용한 화면

  • 이전에 만든 Blur 그래프과, 기본적인 Scene의 모습을 Lerp한다.
  • Lerp의 세번째 인자는, 피사계 심도이기 때문에 Scene Depth 즉 거리를 활용한다.
  • Scene Depth 노드
    • 카메라로부터의 깊이 정보를 가져오는 데 사용
    • Sampling 옵션
      • Linear01
        • 깊이 값을 선형화하여 0과 1 사이의 값으로 정규화한다.
        • 이때, 카메라가 닿을 수 있는 가장 먼 거리가 1로 반환된다.
        • 카메라의 Clipping Planes - Far 의 설정이 매우 멀리 설정되어있으면 효과가 미미하게 적용되니, 이를 줄이는것을 추천
      • Raw
        • 카메라의 깊이 버퍼에서 직접 읽은 원시 깊이 값
        • 렌더링 시스템의 낮은 수준의 기능을 직접 제어하거나, 깊이 값에 대한 더 세밀한 조정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있겠다.
      • Eye
        • 객체가 카메라로부터 실제 거리를 선형 단위로 반환한다. 이 값은 선형화된 값으로, 실제 세계의 거리 측정과 관련된 계산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Fog 실습

  • 환경에 대기나 안개 효과를 추가하여 시각적 깊이감과 분위기를 만드는 기술
  • 시야 거리를 제한하여 먼 배경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함으로써, 실제 세계에서 관측할 수 있는 대기 산란 현상을 모방
  • 렌더링 성능 최적화와 시각적 몰입감 향상에도 기여

Untitled (29)

start는 10, end는 20으로 설정된다.

  • 좌측의 그래프는 Fog효과를 만들기 위한 Shader Graph.
  • Lerp의 두번째 인자는 이전 실습에서 만든 Blur
  • 이는 영상에서 설명한 공식을 구현한 것인데,

    Untitled (30)

    S는 시작점 start, E는 end 끝점. 각각이 안개효과가 시작되는 지점과 효과가 최대에 도달한 지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처리하고자 하는 대상의 위치를 D라고 하고, 위의 공식이 성립한다.

Untitled (31)

  • 안개로 Blur를 사용하여 외관상으로는 앞에서 한 Depth of Field와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 이전의 실습과 유의미한 차이점이라면, Scene Depth의 설정이 Eye로 바뀌어 카메라로부터의 물리적 거리를 기반으로 효과가 적용된다는 점이다.

PostProcessing의 비용

  • 모든 포스트 프로세싱은 각각의 비용이 다르다.
  • 효과에 따라, 옵션에 따라 모바일에서도 무리없이 적용가능한 효과가 있기도하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으니 잘 알아보고 사용할 것.
  • 성능에 관한 부분은 유니티 매뉴얼말고도 다양한 정보를 찾아서 활용해야 할 듯.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