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 아침마다 머리속으로 개자식들이 들어올 때
드라마 : 나의 해방일지 되새김은 우리를 고통스럽게 만든다 드라마 속 염미정이 이에 대한 대처법을 알려준다. 마음의 눈길 돌리기 우리 마음의 눈길은 자극적인 대상에 주의를 두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되새김의 전쟁...
드라마 : 나의 해방일지 되새김은 우리를 고통스럽게 만든다 드라마 속 염미정이 이에 대한 대처법을 알려준다. 마음의 눈길 돌리기 우리 마음의 눈길은 자극적인 대상에 주의를 두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되새김의 전쟁...
드라마 : 나의 해방일지 몸에 난 상처는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치유된다. 그런데 마음에 난 상처는 왜 그렇지 않을까? 몸에 상처가 나면, 우리는 그 상처가 잘 아물때까지 건드리지 않는다. 상처를 건드렸다가는 상처가 덧나고, 더 오래걸리는 걸 우리는 잘 안다. 마음...
영화 : 셰이프 오브 워터 : 사랑의 모양 차별은 차별을 합리화할 수 있는 다름을 발견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가장 쉽게, 그리고 가장 확실하게 다름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상대의 외모다. 피부색과 성별이 가장 쉽게 차별의 근거로 이용되는 이유다. 사랑은 상대가 나와 다르지 않은 존재라는 사실을 지각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
영화 : 기생충 사람들은 미래를 계획한다. 하지만 계획했다고 해서 모든 일이 계획한 대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계획에 없던 일들이 발생하는 것이 인생이다. 문제는 계획에 없던 일들이 발생했을 때 받는 충격의 크기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재산의 규모에 따라 예상치 못했던 사건이 삶에 주는 충격의 정도는...
영화 : 그린 북 영화 그린 북은 인종차별이 정상으로 간주되던 시절, 백인 남자와 흑인 남자가 함께 두 달 동안 인종차별이 가장 심했던 미국의 남부를 여행한 기록을 담은 로드 무비. 접촉 가설 고정관념과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선 직접 만나서 부대끼고, 상호작용해야 한다. 심리...
영화 : 더 스퀘어 다수의 무지 사람이 모여 집단을 이루면 구성원들 사이에 규범이 생긴다. 규범 :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 자신들이 공유하는 집단 규범을 지키지 않는 사람을 불편해하고, 배척하고, 심지어는 물리...
영화 : 겁나는 여친의 완벽한 비밀 질투의 진화심리학 진화심리학에 따르면, 질투심은 일종의 경고음. 짝을 다른 사람에게 빼앗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신호하는 경고음. 질투심이 불러일으키는 다양한 행동들은 연적에게 짝을 빼앗길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영화 : 블랙팬서 영화 “블랙팬서”는 기존의 영화들이 보여주는 흑인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에 정확히 반하는 영화다. 출연진의 대부분이 흑인이며, 기존의 영화들이 백인과 흑인에 대해 묘사하는 방법의 반대 방법을 사용한다. 무의식적으로 배우는 것들. 우리는 고정관념과 편견을 학습...
영화 : 부산행 좀비사회 우리는 어쩌면 이미 좀비들이 살아서 돌아다니는 사회에서 살고 있는지도 모른다. ‘묻지 마 범죄’는 우리가 상상하는 좀비들의 모습과 닮아있다. 눈에 띄는 사람을 아무 이유 없이 무차별적으로 공격의 대상으로 삼기에 ...
영화 : 스피드 정서의 2요인 이론 사람들이 어떻게 다양한 감정이나 정서를 느끼게 되는지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 하나는 신체적인 각성 흥분했을 때 경험하는 생리적 변화 두번째는 각성에 대한 인지적인 해석 ...